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ta 통신3

데이터 통신(3장. 데이터 제어 및 흐름 제어) 에러 제어 데이터 통신에서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정확한 송수신을 위한 에러 제어이다. 에러 제어를 위한 보편적인 방법은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Data 전송 시 송신 측에서는 데이터와 함께 수직 패리티, 수평 수직 패리티, CRC 등 에러 검사용 정보를 보내주고 수신 측에서는 이 정보를 기초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에러를 검사하여 자체 정정하거나 송신 측에 재전송을 요청하도록 하는 것이다. 에러 검사 기법 에러 검사 기법에는 아래와 같은 수직 패리티, 수평 수직 패리티, CRC (Cyclic Redundancy Check) 기법 등이 있다. 수직 패리티 검사 기법 : 송신 측에서는 각 문자에 대해서 패리티를 부가해서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각 문자에 대해서 패리티를 검사한다. 수평 수직 패.. 2022. 10. 24.
데이터 통신(2장. 데이터 전송 기술) 전송 방식의 구분 전송 방식이란 두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말한다. 이 전송 방식의 구분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시 전송성 : 두 시스템이 동시에 데이타를 송신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병렬성 : 한 순간에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동기성 : 두 시스템 간에 정확한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성질을 말한다. 단방향 전송과 양방향 전송 동시 전송성에 따라 전송 방식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단방향 전송 (simplex) : 라디오 방송, TV 방송 등에서와 같이 두 시스템 중에 하나의 시스템만 송신할 수 있는 방식이다. 양방향 교대 전송 (half-duplex) : 소형 무전기 간의 통신에서와 같이 두 시스템이 모.. 2022. 10. 22.
데이터 통신(1장. 정의) 데이터 통신의 정의 데이터통신이란 데이타 처리 장치간의 통신을 뜻한다. 여기서, 데이타 처리 장치란 호스트 컴퓨터, 단말기, PC (Personal Computer), Workstation, 현금 인출기, POS (Point-Of-Sales) 단말기 등 데이타를 처리하는 모든 장치를 가리킨다. 데이터 통신은 기존의 음성, 화상, 영상 통신 등과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음성, 영상 통신은 송신 측에서 송신한 내용이 수신 측에 거의 실시간적으로 도착해야 하지만 데이터 통신은 이러한 실시간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둘째, 음성, 화상, 영상 통신에 있어서는 전송한 내용에 어느 정도의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데이타 통신에 있어서는 전송한 내용에 대한 정확성이 보장되어.. 2022. 10. 21.
반응형